컴퓨터&인터넷

엑셀 진수변환 2진수 8진수 16진수로 바꾸는 bin oct de hex

Uroad 2020. 12. 16. 10:46
반응형

 

엑셀을 사용하면 손쉽게 진수를 변환할수 있습니다. 특히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사람들도 엑셀을 쓰게 되는데, 주소 접근같은 일을 할 경우 1진수나 2진법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엑셀을 통하여 간단하게 진수 변환을 하는 함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각각의 진수에 대한 영문 표기는 위와 같습니다. 영문표기를 확인해보는 이유는 이 영문을 알변 손쉽게 엑셀의 진수변환 함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영문표기의 앞 3글자만 알면 각각의 진수로 변환이 가능합니다. 

 

 

Binary 는 BIN, Octal은 OCT, Decimal 은 DEC, Hexa Decimal 은 HEX 로 표기합니다. 

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위와 같이 기입을 하면 가능합니다.

 

 

 

 

바꾸기 전의 숫자, 예시로 10진수 DEC 그리고 2진수 BIN 로 변환한다고 하면 중간에 숫자 2 (TO) 라는 의미로 사용하면 A4셀의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라는 뜻이 됩니다. 

 

 

 

A18 셀의 십진수 숫자 15를 2진수로 바꾼다고 하면 =DEC2BIN(A18) 로 정의를 하면 10진수에서 2진수로 바뀌게 됩니다.

 

 

 

이진수 1111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2진수를 10진수로 바꾸어 계산을 해봐도 15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2진수를 8진수로 변환해보면, F12셀의 2진수 숫자를 바꾼다면

 

=BIN2OCT(F12) 로 정의 하면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이렇듯 각가의 진수를 표현하는 영문 3글자와 TO를 의미하는 숫자 2를 사용해서 아주 편리하게 진수 변환을 할수 있으니, 필요한 경우 활용해 보면 아주 좋을 것 입니다.

반응형